인문학은
언어, 문학, 역사, 철학 등을
연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.
.
.
한자사전을 따라가보면
'인간과 인간의
문화에 관심을 갖는 학문'이라고
정의되고 있습니다.
.
.
김창옥교수님 뿐 아니라
많은 주요인사들이
여러 매체를 통해
인문학교육을 강조하는
이유는 무엇일까요?
.
.
앞서 말한 언어, 문학, 역사, 철학은
인간만이 가능한 고유한 영역입니다.
.
.
언어를 만들어내고
언어를 연결지어 이야기를 짓고
그 이야기로 역사를 규명하고
역사적 의의를 통해
현재와 미래에 필요한
철학을 만들어내는 활동이
바로 인문학입니다.
.
.
그런데 요즘은 이런 인문학이
그저 '어렵고 골치아픈 것' 정도로
여겨지는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.
.
.
"눈 앞에 닥친 생계의 문제가
더 급한테 인문학을 공부할
시간과 여력이 없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요?"
.
.
제가 인문학과 철학을 가르칠 때 마다
꼭 1명 정도는 이런 질문을 하는
학생들을 만납니다.
.
.
그럴 때 마다 저는
이렇게 대답해줍니다.
.
.
"자신에 대해 잘 아는 것
타인을 수용하는 것
사회를 이해하는 것
이 3가지의 공통분모가
바로 인문학입니다."
.
.
"인문학을 차근차근
공부해 온 사람들은
세상의 이치들을 자연스럽게
이해하게 됩니다"
.
.
"이 3가지를 이해하고
학생이 말하는 일자리를 구하면
평생 불안해하지 않을 수 있는
삶의 기준이 생기는 겁니다"
.
.
"기준 없이 정한 일자리는
얼마 가지 않아
'나에게 맞지 않는 것'이
무엇인지를 알게 해줄 뿐입니다.
곧 다른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
또 다른 스펙을 준비하겠죠"
.
.
"평생 새로운 스펙을 따라잡으며
살고 싶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.
그것 또한 학생의 선택이니까요"
.
.
"하지만 60세가 넘어서도
자신의 길을 헤매고 있는
스스로를 상상해본다면,
지금부터라도 인문학을 공부해서
자신만의 길을 찾는 것이
더 합리적인 선택 아닐까요?"
.
.
속상한 마음에 발언을 했던
학생은 수업이 끝나고
쭈뼛거리며 저를 찾아옵니다.
.
.
"그래서 제가
뭘하면 되나요?"
.
.
앞으로 이 학생에게
해줬던 인문학에 대한
이야기들을 풀어보려 합니다.
.
.
연재를 계속 이어나갈 수 있게
응원해주세요^^
.
.
실력과 인성을 겸비한
청년들을 양성합니다.
.
.
윤성화멘토링연구소
.
.
#김창옥 #한자
#전시회 #공모전
#인문학 #인문학공부
#인문학특강 #인문학특강강사
#인문학교육
#윤성화멘토링연구소
'인문학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복의 진정한 의미 (4) | 2020.07.25 |
---|---|
[하루5분 인문학] 움직일 용기가 없을 때 읽어야 하는 글 (18) | 2020.06.26 |
[5분인문학] 신조어 모른다고 속상해하지 마세요 (16) | 2020.06.25 |
전자출입명부 QR코드 발급방법,QR코드체크인, QR코드결제,핀테크 (9) | 2020.06.12 |
어른다운 어른되기, 민식이법, 구하라법, 긴급재난지원금 (1) | 2020.05.22 |